• 2022. 12. 13.

    by. lycian

    반응형

        적벽대전은 작은 군대가 큰 군대를 이긴 싸움으로, 중국 세 나라의 역사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조조는 이 싸움에서 패한 뒤 강남으로 진출할 힘을 잃었고, 손권과 유비는 승리를 통해 세력을 확대하고 영역을 넓혔다. 이로써 위, , 오 삼국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이 조조의 80만 대군을 물리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의 전술이 뛰어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조조가 교만했기 때문이다.

     

         조조군이 실패한 주관적 원인

     

        조조는 북방을 통일한 뒤 강남으로 진군해 손쉽게 형주를 얻는다. 이때 조조가 먼저 유비를 공격하고 동오와 전투를 벌였다면 삼국의 역사는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다. 그러나 조조는 천하를 통일하는 데 급급했던 것 같다. 게다가 북방 정벌에서 여러 차례 승리한 경험으로 자만심에 차 있었다. 두 적을 한꺼번에 공격하려는 그의 계획에 맞서 손권과 유비는 동맹을 맺었고, 이것은 조조에게 불리한 상황이 되었다.

     

         조조군이 실패한 객관적 원인

     

        강남은 물이 많은 지역이라서 수전에 유리하다. 그러나 조조군은 오랜 기간 북방을 정벌하느라 수전에 약했다. 조조는 전쟁에 앞서 수군을 훈련시켰지만 전투력은 여전히 약했다. 또 조조군은 먼 곳에서 오느라 지친 상태였고 질병까지 퍼져 있었다. 조조가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면서 점령한 영토의 기틀도 튼튼하지 않았다. 그래서 손권과 유비 연합군은 반격할 틈새를 찾았다.

     

         또 다른 요인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은 조조군에게 화공을 퍼부었다. 그런데 조조군은 불 공격을 받기 전에도 이미 전염병에 시달려서 많은 병사들이 죽었다. 조조는 철군할 수밖에 없었다. 역사책을 보면 조조는 손권에게 다음과 같이 편지를 썼다 한다. “적벽의 병사들이 전염병에 걸려 배에 불을 지르고 물러날 수밖에 없으니 주유는 손쉽게 이 영광을 거머쥐었다.” 다시 말해, 조조 스스로 배에 불을 지르고 물러난 것이다.

     

         손권과 유비 연합군의 승리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원인은 이것이다.

     

        첫째, 힘을 합쳐 조조를 격퇴했다. 손권과 유비 사이에도 갈등이 있었지만 두 사람은 손을 잡고 조조라는 하나의 적을 공격했다. 동맹을 맺음으로써 조조보다 더 큰 세력을 형성한 것이다.

     

        둘째, 적 앞에 주눅이 들거나 겉으로 나타난 현상에 흔들리지 않았다. 이들이 분석해 보니, 조조군은 겉으로는 기세등등하지만 실제로는 후방이 불안하고 물에 적응하지 못했다. 또 유비의 병력은 조조군보다 수는 적어도 수전에 능한 병사들이 60만 명은 되었다. 이를 이용해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다.

     

        셋째, 적극적으로 전쟁에 나서 적을 제압했다. 연합군은 조조의 병력이 집중되지 못하고 불안정한 틈을 타 먼저 공격했으며, 전략적 요충지인 번구가 유비의 손에 있을 때 강 위에서 전쟁을 벌임으로써 조조군이 강동으로 내려오지 못하게 막았다. 또한, 조조가 자만심에 빠져 있을 때 먼저 공격을 퍼부어 조조군의 사기를 떨어뜨렸다.

     

    이렇게 해서 손권과 유비 연합군은 조조군을 물리쳤다. 적벽대전으로 역사는 새로운 국면을 향해 흘러갔다.

     

     

     
    반응형

    '삼국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족 출신, 유비  (0) 2022.12.21
    화살에 맞고 죽은 척한 주유  (0) 2022.12.15
    비판의 예술  (0) 2022.12.07
    허물만 남기고 달아나기  (0) 2022.12.01
    창을 비껴 잡고 시를 읊다  (0) 2022.11.30